분류 전체보기(33)
-
OSI 7 계층, TCP/IP 4 계층
OSI 7 Layer VS TCP/IP 4 Layer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7 Layer :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개발한 모델. 통신의 표준을 나타내지만, 실제로는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실제 물리 장치로 실질적인 전송을 담당하는 계층이다. 데이터를 전기적 신호로 변경해주며, 데이터의 형태는 bit이다. 데이터링크 계층 (Data Link Layer) 물리적 링크를 통해서, 장치 간에 데이터를 신뢰성있게 전송하는 계층이다. (이더넷(MAC) 주소 이용) 네트워크 계층에서 받은 데이터를 frame으로 구성, 물리 계층으로 전송한다.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packet을 송신측으로부터 수신측으로..
2023.02.01 -
디지털 게임의 문화적 접근 (교양 발표자료)
22년도 2학기 대중문화와삶 팀프로젝트 발표 자료이다. 고학번이기도 하고, 다뤄보고 조사해보고 싶었던 주제가 있었기 때문에 팀장을 맡아서 열심히 진행했다. 결과적으로 교수님의 반응이 좋아서 뿌듯했고, 같이한 팀원 중 한분이 열심히 해주셔서 감사하게 생각한다.
2022.12.16 -
DAIVerse - AI 비서와 데이터시각화를 중점으로 한 VR 회의 플랫폼
[DAIVerse 기획 의도] VR회의를 통해 시청각 인식을 극대화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회의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고, 음성인식 AI비서를 통해 VR상에서 조작이 불편한 편리하게 제공함으로써 회의 참가자의 편의성을 높여주고자 합니다. 또한 3차원 데이터 시각화 및 실시간 데이터 조작 및 공유 기능을 제공하여 참가자들의 정보의 전달성과 접근성을 높여주고자 합니다. 최종적으로 VR회의, 음성인식 AI비서, 데이터 시각화의 세가지 요소를 합쳐서 효과적인 온라인 회의 플랫폼을 제작하는 것이 저희의 목표입니다. 2022.2 프로젝트 기획 2022.3 졸업작품으로 개발 시작 2022.4 프로토타입 완성 : VR 조작 및 UI, AI 데이터 제작, AI 서버 제작 2022.5 알파타입 완성 : 회의 네트워크, ..
2022.11.24 -
넥슨의 자서전 <플레이>를 읽고. 故김정주 창업자를 생각하며.
김정주 창업자와 넥슨 올해 2월, 김정주 회장이 사망했다는 뉴스를 접하며 매우 놀랐고, 안타까웠고, 한편으로 궁금했다. 돈이 인생의 전부는 아니라지만, 김정주 창업자는 세계 10위의 경제대국 대한민국에서 한 손에 꼽히는 부자였기 때문에 더 충격적이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故김정주 회장을 떠올릴 때, 아마 그의 재산과 진경준 게이트, 성공한 사업가 이미지 정도를 떠올릴 것이다. 거기에 더해 게이머들은 넥슨의 게임과 BM을, 주식 투자자들은 일본에 상장된 넥슨의 장기 우상향 그래프를, 창업자들과 개발자들은 그의 성공 스토리를 떠올릴 것이다. 나 또한 별반 다르지 않고, 검찰 조사 이후부터 의욕을 잃고 넥슨을 매각하려 했던 그의 씁쓸해보이던 모습이 떠오르면서도, 그래도 가진게 많으니 당연히 행복하겠지. 라는 ..
2022.06.28 -
Makefile
처음에 학교에서 들었을 땐 뭐지..? 싶었는데, 유튜브 설명들으니까 그제서야 아 이거구나 싶었다.. 까먹기전에 이해한대로 정리해본다.. 리눅스의 Makefile 기능은 컴파일, 링크 과정을 단순화 시키기 위해서 쓰는 것이다. 컴파일할 소스파일들이 있는 경로에 Makefile이라는 파일을 만들고 작성한 후에, make 명령어를 치면 Makefile 내용에 근거해서 실행 파일을 만들 수 있다. Makefile의 기본 문법은 Target : Dependency command 이다. Target은 작업할 대상, Dependency는 이 작업을 위해 필요한 것이다. 예를 들어서 test.c를 컴파일해서 test라는 실행 파일을 만들기 위해서는 test: test.c gcc -o test test.c 라고 작성하면..
2022.03.25 -
i-node, hard link, symbolic link
i-node i-node란 index-node의 줄임말로써, 파일을 빠르게 찾기 위한 index가 부여되어있고, 파일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이다. 파일이나 디렉토리는 각자의 i-node를 갖고있다. ls -i [파일이름] 명령을 통해 i-node 값(index 값)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i-node는 한 파일이 갖는 모든 데이터 블록을 가리키는 포인터들을 포함한다. hard link hard link란 원본 파일의 i-node를 가리키는 link file을 만드는 것이다. 따라서 시스템상의 같은 파일에 대한 다른 명칭이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한 파일을 변경하면 hard link된 다른 파일 역시 변경되게 된다. 이는 실제로 같은 i-node를 가리키기 때문에 당연한 일이다. ln [원본..
2022.03.25